참고: PG사 가입이 처음인 경우, 초기 가입비, 수수료 등 PG사 특별 혜택이 적용된 PG사를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5) 페이지를 내려가며 PG사 가입에 필요한 서류 및 정보를 확인하고 작성합니다. (가입 신청서는 PG사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6) (선택 사항) 카카오페이 간편결제를 함께 신청하는 경우, 간편결제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KG이니시스 신청 시에는 카카오페이가 자동으로 함께 신청됩니다.)
주의: PG사 가입신청 후, 취소 또는 가입 해지하는 경우 카카오페이 기존 가입자로 인식되어 사용자가 개별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겨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 신청해 주시길 바랍니다.
7) 서비스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서비스 신청일을 기준으로 1~2영업일 내에 PG 담당자가 작성하신 연락처로 연락하여 가입을 도와드립니다.
참고: KG이니시스 신청 시에는 가입비 면제 대상에 한해 신청 후 상점에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가상계좌 등 결제수단이 바로 제공됩니다. 단, 자동 취소 및 환불은 영업일 1~3일 후에 가능하며 카카오페이 결제수단은 개별 심사가 진행되어 연동 완료까지 14일 내외 기간이 소요됩니다.
2단계: PG/카드사 심사 진행
1) 서비스 가입이 완료되면, PG/카드사 심사가 진행됩니다. 심사에는 통상 1~2주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참고: 카드사 심사 중에는 자동으로 테스트 결제 모드로 전환되어 카드사별 심사가 진행됩니다. 실제 과금되지 않으며 신용카드 등 결제수단이 사이트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2) 심사가 완료되면 별찌에서 결제 설정을 완료해 드립니다. (이메일로 발송되는 상점 ID 및 키값은 차후 다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보관해 주세요.)
3단계: 결제수단 설정하기
1) 심사가 완료되면, 내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왼쪽 메뉴에서 [환경설정 > 전자결제(PG) 설정]을 클릭합니다.
3) 국내 결제설정 항목에서 결제 가능한 수단을 선택합니다. (복수 선택 가능)
4) 기본 결제수단 항목에서 기본 결제수단을 선택합니다. (예: 신용카드, 가상계좌, 무통장입금만 선택)
5) (선택 사항) 무통장입금 등 현금성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구매자가 현금영수증을 신청할 수 있도록,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사용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선택 사항) 무통장입금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무통장입금 계좌 정보 항목에 계좌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참고: 쇼핑몰에 현금 결제가 잦은 경우, 입금확인을 자동으로 처리해 주는 뱅크다 부가서비스를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7) (선택 사항) 가상계좌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가상계좌 통보URL을 PG사 관리자 페이지에서 추가해 주셔야 합니다. 상세 추가방법은 가상계좌 자동 입금확인 설정방법 도움말을 참고하세요.
8) 저장 버튼을 클릭해 적용합니다.
4단계: 통신판매업신고
판매자는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제12조4항에 따라, 구매자가 정확한 사업자의 정보를 알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통신판매업신고를 통해 판매자의 신원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아래 사항들을 참고하여 통신판매업신고를 진행하고, 발급 받은 통신판매업 신고번호는 쇼핑몰 하단에 기재해 주세요. 쇼핑몰 하단 법적필수정보 기재하기
대량의 파일을 올리거나, 올린 파일들을 관리할 때 FTP가 필요할 수 있지만, 위멘토(별찌)웹의 경우 몇 가지 이유로 FTP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왜 지원하지 않나요?
타사 솔루션들은 웹호스팅 방식의 독립된 공간과 분리된 소스코드로 동작하는 반면, 위멘토(별찌) 웹은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즉, 사이트별로 동일한 소스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기능이 동작되는 셈입니다.
FTP를 지원하지 않는 대신 위멘토(별찌) 웹의 업데이트 사항이 사이트별로 자동으로 반영되어, 관리자들이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아도 항상 최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 사이트별로 나뉘어진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에 FTP를 제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대안은 무엇인가요?
대량의 파일 업로드가 필요한 상황은 주로 상품 이미지 등록이나, 타사에서 사용하던 게시물에 연결된 첨부 파일(이미지)이 대부분일 것이며 아래와 같은 대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품 이미지 등록 : 관리자 페이지의 [쇼핑 > 상품관리]에서 상품 일괄 추가 기능을 사용하면 여러 상품과 여러 이미지를 한 번에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물 이미지 등록 : 게시물은 관리자 페이지의 [컨텐츠 관리 > 게시물 관리]에서 게시판을 선택한 후, 오른쪽의 게시물 업로드 버튼을 클릭해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 일괄 등록은 기능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으니 고객지원을 통해 요청하시면 검토 후 처리하여 이미지 경로를 안내 드립니다. 유료 사용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웹사이트에 이미지 사용 : 게시판의 이미지 첨부 기능을 사용해, 이미지를 올리고, 해당 이미지의 주소(URL)을 복사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는, 무통장으로 입금한 주문 내역과 입금자명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입금확인 처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입금계좌는 최대 3개까지 연결 가능하며, 야간 및 주말에도 입금확인 처리가 가능하여 고객의 신뢰와 업무효율 두 가지를 모두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신청 및 설정방법
1단계: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 신청하기
내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접속방법
왼쪽 메뉴에서 [환경설정 > 전자결제(PG) 설정]을 클릭해 이동합니다.
왼쪽 국내 결제 목록에서 BANKDA 자동입금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결제를 완료합니다.
2단계: 입금계좌 빠른 계좌 조회 등록 확인
뱅크다 서비스는 인터넷 뱅킹 사이트의 빠른계좌조회 서비스에 등록된 입금정보를 수집합니다. 따라서 쇼핑몰에서 이용하실 은행계좌를 해당 은행의 빠른계좌조회 서비스에 등록해 주세요.
뱅크다 설정 이전에 접수된 주문: 뱅크다 및 빠른계좌등록서비스를 적용하기 전 발생한 주문건은 자동 입금확인 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자동입금 확인은 최대 2시간 소요: 입금 시점부터 자동입금 확인까지 최대 2시간이 소요됩니다. (뱅크다측 입금확인 주기 1시간 + 뱅크다와 데이터 동기화 주기 1시간)
주문 후 1주일까지 입금확인 진행 : 주문 시점부터 1주일 동안 자동입금 확인 과정이 지속됩니다. 1주일이 지나면 더 이상 자동입금 확인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입금대기 중 동일한 입금자명, 주문금액이 2건 이상: 자동입금확인은 입금대기 상태 주문 중 입금은행, 입금자명, 주문금액을 토대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입금확인 처리합니다. 그러나 입금대기 주문 중 입금자명과 주문금액이 일치하는 주문이 2건 이상 존재하게 될 경우 어떤 주문에 대한 입금인지 확인이 불가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처리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금자명 또는 금액이 서로 다름: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 입금자명 또는 금액이 다른 경우 자동입금확인처리 되지 않습니다.
빠른계좌조회 서비스 미등록: 자동입금확인용 계좌가 은행의 빠른조회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자동입금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사업자정보조회 확인 링크 추가하기 (통신판매업 신고 확인)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려면 필수로 사업자정보 및 통신판매업신고가 필요하며, 고객이 신고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방문자가 쇼핑몰 운영자의 사업자정보 및 통신판매업신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하단에 사업자정보조회 링크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방법1: 간편 추가 방법(단순 새창 링크)
링크 추가가 가능한 위젯 또는 텍스트 에디터에 다음 링크를 추가합니다.
http://www.ftc.go.kr/bizCommPop.do?wrkr_no=사업자등록번호(숫자만)
사업자등록번호(숫자만)이라고 작성된 부분을 삭제하고, 본인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만약 사업자등록번호 123-45-67890 인 경우, 하이픈(-)을 제거한 숫자만 입력합니다.
방법2: 고급 추가 방법(팝업 링크)
만약 아래과 같이 클릭 시 팝업 형태로 나오도록 설정하고 싶다면 코드 입력이 필요합니다.
1단계: 공통 스크립트 추가하기
Footer Code에 아래의 스크립트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습니다.
<script> var url = "http://www.ftc.go.kr/bizCommPop.do?wrkr_no=사업자등록번호(숫자만)" $(document).ready(function(){ $('.ftc_btn').click(function(){ window.open(url, "bizCommPop", "width=750, height=700;"); return false; }); }); </script>
참고: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시 하이픈(-)은 빼고 숫자만 입력해 주세요.
2단계: 사업자정보조회 확인 링크 추가하기
사업자정보조회 확인 링크를 추가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디자인 모드에 접속해 원하는 방법으로 추가합니다.
1. 위젯에서 링크를 추가하는 경우:
다음의 코드를 복사합니다.
;" class="ftc_btn
링크 입력 칸에 위에서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2. 하단 영역에 코드로 링크를 추가하는 경우:
텍스트 도구에서, 마지막 코드 보기 도구를 클릭합니다.
코드 보기로 전환되면 다음 HTML 코드를 추가합니다.
<a href=";" class="ftc_btn">사업자정보조회</a>
코드 보기 버튼을 다시 클릭합니다.
결제수단 신청 및 설정하기
1단계: PG사 가입 신청하기
1) 내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접속방법
2) 왼쪽 메뉴에서 [환경설정 > 전자결제(PG)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왼쪽 국내 전자 결제 탭 메뉴를 클릭합니다.
4) 가입할 전자결제(PG)사를 확인하고, 신청 및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페이지를 내려가며 PG사 가입에 필요한 서류 및 정보를 확인하고 작성합니다. (가입 신청서는 PG사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6) (선택 사항) 카카오페이 간편결제를 함께 신청하는 경우, 간편결제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KG이니시스 신청 시에는 카카오페이가 자동으로 함께 신청됩니다.)
7) 서비스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서비스 신청일을 기준으로 1~2영업일 내에 PG 담당자가 작성하신 연락처로 연락하여 가입을 도와드립니다.
참고: KG이니시스 신청 시에는 가입비 면제 대상에 한해 신청 후 상점에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가상계좌 등 결제수단이 바로 제공됩니다. 단, 자동 취소 및 환불은 영업일 1~3일 후에 가능하며 카카오페이 결제수단은 개별 심사가 진행되어 연동 완료까지 14일 내외 기간이 소요됩니다.
2단계: PG/카드사 심사 진행
1) 서비스 가입이 완료되면, PG/카드사 심사가 진행됩니다. 심사에는 통상 1~2주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2) 심사가 완료되면 별찌에서 결제 설정을 완료해 드립니다. (이메일로 발송되는 상점 ID 및 키값은 차후 다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보관해 주세요.)
3단계: 결제수단 설정하기
1) 심사가 완료되면, 내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왼쪽 메뉴에서 [환경설정 > 전자결제(PG) 설정]을 클릭합니다.
3) 국내 결제설정 항목에서 결제 가능한 수단을 선택합니다. (복수 선택 가능)
4) 기본 결제수단 항목에서 기본 결제수단을 선택합니다. (예: 신용카드, 가상계좌, 무통장입금만 선택)
5) (선택 사항) 무통장입금 등 현금성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구매자가 현금영수증을 신청할 수 있도록,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사용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선택 사항) 무통장입금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무통장입금 계좌 정보 항목에 계좌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7) (선택 사항) 가상계좌 결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가상계좌 통보URL을 PG사 관리자 페이지에서 추가해 주셔야 합니다. 상세 추가방법은 가상계좌 자동 입금확인 설정방법 도움말을 참고하세요.
8) 저장 버튼을 클릭해 적용합니다.
4단계: 통신판매업신고
판매자는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제12조4항에 따라, 구매자가 정확한 사업자의 정보를 알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통신판매업신고를 통해 판매자의 신원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아래 사항들을 참고하여 통신판매업신고를 진행하고, 발급 받은 통신판매업 신고번호는 쇼핑몰 하단에 기재해 주세요. 쇼핑몰 하단 법적필수정보 기재하기
캐시 비우기 및 강력 새로고침 활용하기 (구글 크롬 브라우저)
디자인 모드에서 사이트 편집 후 변경사항을 게시했으나 적용되지 않는 때가 있습니다.
위 문제는 대개 웹 캐시로 인해 생기는 문제로, 사용 중인 웹 브라우저의 캐시를 초기화 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일반 캐시 초기화 방법의 경우 웹 브라우저에 저장된 계정 정보, 비밀번호 등 웹사이트 설정도 함께 삭제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매우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만약 Google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캐시 비우기 및 강력 새로고침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웹 브라우저 전체 설정을 삭제하지 않고, 원하는 페이지의 캐시만 간편하게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용방법
FTP 접속을 지원하나요?
위멘토(별찌)웹은 FTP 방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량의 파일을 올리거나, 올린 파일들을 관리할 때 FTP가 필요할 수 있지만, 위멘토(별찌)웹의 경우 몇 가지 이유로 FTP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타사 솔루션들은 웹호스팅 방식의 독립된 공간과 분리된 소스코드로 동작하는 반면, 위멘토(별찌) 웹은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즉, 사이트별로 동일한 소스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기능이 동작되는 셈입니다.
FTP를 지원하지 않는 대신 위멘토(별찌) 웹의 업데이트 사항이 사이트별로 자동으로 반영되어, 관리자들이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아도 항상 최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 사이트별로 나뉘어진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에 FTP를 제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대량의 파일 업로드가 필요한 상황은 주로 상품 이미지 등록이나, 타사에서 사용하던 게시물에 연결된 첨부 파일(이미지)이 대부분일 것이며 아래와 같은 대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이미지 일괄 등록은 기능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으니 고객지원을 통해 요청하시면 검토 후 처리하여 이미지 경로를 안내 드립니다. 유료 사용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관리자가 다른 메일로 특정 알림만 받을 수 있나요?
위멘토(별찌)웹은 내 사이트에 주문이 들어왔거나, 게시물이 올라왔을 때 등 특정한 상황에서 소유자에게 자동으로 알림 메일을 발송합니다.
자동 알림 메일은 소유자가 위멘토(별찌)웹 회원가입 당시 작성한 메일 주소로 발송되는데, 이때 수신 받을 메일 주소를 다른 메일 주소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자동 알림 메일이 특별히 지정한 운영진 그룹(또는 계정)에게만 발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별 방법을 소개합니다.
설정방법
1단계: 운영진 그룹 만들기
새로운 운영진 그룹을 생성합니다.
그룹명을 작성하고, 그룹 유형을 운영진 그룹으로 선택합니다.
(선택 사항) 운영진 그룹을 선택하면 메뉴별 권한설정 옵션이 표시됩니다. 필요에 따라 해당 운영진 그룹에 부여할 권한을 선택합니다.
2단계: 사용자 추가하기
위 1단계에서 생성한 운영진 그룹에 속할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아래 그림과 설명을 참고해 사용자 회원 정보를 입력합니다.
계정: 자동 알림 메일을 수신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3단계: 자동 알림 메일을 수신할 운영진 그룹 지정하기
자동 알림 메일이 지정한 운영진 그룹으로 발송되도록 설정합니다.
운영진 그룹에는 자동 알림 메일을 받을 운영진 그룹을 선택합니다. (그룹 선택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위 1단계에서 생성한 운영진 그룹이 나타납니다.)
4단계: 자동 알림 메일 발송 테스트하기
사이트 회원 정보 수정하기 (회원 비밀번호 초기화, 활동 정보, 적립금)
관리자(또는 지정된 운영진 그룹)은 사용자 정보(프로필)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정(비밀번호 초기화 등)하거나, 활동 정보 확인, 적립금 지급/차감, 메모 작성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정보 확인방법
상세 수정 항목
1. 회원 정보
사용자(회원)의 계정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본 항목에 나타나는 그룹 및 쇼핑등급 외 일부 회원 정보 항목은 설정하신 가입항목 및 생성한 그룹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활동 정보
사용자(회원)의 활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적립금
사용자(회원)에게 적립금을 지급하거나 차감할 수 있습니다. *최근 3개월간 적립 내역만 출력됩니다.
4. 관리자 메모
사용자(회원)에 대한 메모를 남길 수 있습니다. 본 메모는 관리자 또는 권한을 부여 받은 운영진 그룹만 확인 가능합니다.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란?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는, 무통장으로 입금한 주문 내역과 입금자명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입금확인 처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입금계좌는 최대 3개까지 연결 가능하며, 야간 및 주말에도 입금확인 처리가 가능하여 고객의 신뢰와 업무효율 두 가지를 모두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신청 및 설정방법
1단계: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 신청하기
2단계: 입금계좌 빠른 계좌 조회 등록 확인
뱅크다 서비스는 인터넷 뱅킹 사이트의 빠른계좌조회 서비스에 등록된 입금정보를 수집합니다. 따라서 쇼핑몰에서 이용하실 은행계좌를 해당 은행의 빠른계좌조회 서비스에 등록해 주세요.
3단계: 계좌 등록하기
빠른계좌조회 서비스에 등록한 계좌(들)를 사이트에 등록합니다.
이용가능 금융기관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농협, KDB산업은행, MG새마을금고, 하나은행, 수협, 신한은행, 신협, 시티뱅크, SC제일은행, BS부산은행, JB전북은행, 우리은행, 우체국, 광주은행, DGB대구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케이뱅크
주의사항
자동입금확인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 다음의 사항들을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 설정하기
PG(전자결제)를 이용 중인 경우,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은 사용자의 PG 및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라 선택 가능한 옵션이 달라집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국세청 홈택스 또는 가입하신 PG사 가맹점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 수동으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KG이니시스 사용자라면?
KG이니시스 사용자에 한하여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사용하려면, INIAPI Key 값을 생성 후, 내 사이트에 등록해야 합니다.
그 외 PG사를 이용하시는 경우, 이 도움말은 건너 뛰어도 무방합니다.
아래 도움말을 통해 INIAPI 키값을 생성하고 사이트에 등록해 주세요.
INIAPI Key 생성 및 등록 방법
설정 및 사용방법
PG 및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라 아래 설정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하기 (PG만 사용 시)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설정해 현금영수증을 발급합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 항목에서 현금영수증 신청 사용을 선택합니다.
주문 목록에서 현금영수증 요청 주문을 확인하고, 상세보기를 클릭합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상세 정보를 확인 후 영수증 발행을 클릭합니다.
현금영수증 발행 확인 팝업이 나타나면 확인을 클릭합니다.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하기 (PG + 뱅크다 함께 사용 시)
구매자가 현금영수증 요청 시 판매자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발급됩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 항목에서 현금영수증 자동발행을 선택합니다.
현금영수증 자진발급 방법
원칙적으로 사업자는 현금성 지불수단으로 결제받은 주문에 대하여 결제 당일 의무적으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그러나 구매자가 현금영수증 신청을 잊었거나, 때때로 현금영수증 발행을 원하지 않아 발급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판매자는 국세청 지정 코드(010-000-1234)를 활용해 자진해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모든 업종에서 필수로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사업자는 건당 거래금액(부가세 포함)이 10만 원 이상인 경우, 소비자가 발급을 요청하지 않았더라도 5일 이내 의무적으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판매자가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하는 3가지 방법을 설명합니다.
1단계: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 설정하기
위멘토(별찌)웹에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을 설정하면 현금성 지불수단으로 결제된 주문 중,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10만원 이상 결제 주문 또는 모든 주문) 주문들을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 설정방법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 항목에서 10만원 이상 결제 주문 또는 모든 주문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2단계: 현금영수증 자진발급하기
현금영수증 자진발급 방법은 위멘토(별찌)웹에서 PG 이용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목록에서 해당되는 항목을 참고해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 해보세요.
PG사 비가맹점 (국세청 홈택스에서 자진발급)
PG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국세청 홈택스 등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통해 자진발급이 가능합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해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발급방법
현금영수증 발급대상 주문(들)에 발급하기가 노출됩니다.
현금영수증 상세 정보에서 식별번호와 거래금액을 확인 후 메모합니다.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 승인거래 발급] 메뉴로 이동해 현금영수증 정보를 작성하고, 발급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현금영수증 정보 작성 시 주의할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금영수증 상세 보기 창에서 처리완료로 변경을 클릭해 현금영수증 발급 처리를 완료합니다.
PG사 가맹점 (위멘토웹에서 자진발급)
PG를 이용 중인 경우, 위멘토 웹에서 현금영수증 자진발급이 가능합니다.
발급방법
현금영수증 발급대상 주문(들)에 발급하기가 노출됩니다.
현금영수증 상세 정보에 식별번호가 국세청 지정 코드(010-000-1234)임을 확인하고, 영수증 발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PG사 가맹점 + 뱅크다 자동입금확인 서비스 이용 (위멘토웹에서 자동 자진발급)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 기능 사용자는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 설정을 마치면, 판매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입금확인이 완료되는대로 현금영수증 미신청 건을 수집 후 자진발급합니다. (설정 후 주문부터 자동 발행)
자진발급 후 현금영수증을 요청 받은 경우
현금영수증 자진발급 후 구매자가 현금영수증을 요청한 경우, 판매자는 구매자로 하여금 직접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하도록 안내하거나, 기존 자진발급한 현금영수증을 취소 후 구매자의 식별번호로 재발급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에게 현금영수증 자진발급 방법 안내하기
판매자가 자진발급한 현금영수증의 승인번호, 거래일자, 금액 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재발급하기
PG사 비가맹점 (국세청 홈택스)
국세청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을 자진발급한 경우, 기존 자진발급한 현금영수증을 조회 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취소를 완료한 다음에는 구매자로부터 받은 식별번호(휴대전화번호 등)으로 현금영수증을 재발급합니다.
PG사 가맹점 (PG사 가맹점 관리자 페이지)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또는 자동 발행) 기능을 통해 자진발급한 경우, 이용 중인 PG사 가맹점 관리자 페이지에서 기존 자진발급한 현금영수증을 조회 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취소를 완료한 다음에는 구매자로부터 받은 식별번호(휴대전화번호 등)으로 현금영수증을 재발급합니다.
현금영수증 발행 시작하기 (처음 사용자)
구매자가 현금성 지불수단으로 결제한 주문에 대하여 편리하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도움말은 위멘토(별찌) 사용자를 대상으로 현금영수증을 발행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합니다.
시작에 앞서: 고객의 현금영수증 신청 이유
구매자는 쇼핑몰에서 무통장입금 등으로 결제 시 휴대전화번호 입력을 통해 현금영수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판매자는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하며, 발급 완료 시 현금결제 건별 명세가 국세청에 통보됩니다.
현금영수증 제도를 이용하는 경우, 개인 및 사업에게 아래와 같은 혜택이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상대방이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한 후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한 경우, 현금영수증 의무발급 제도에 따라 필수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단, 모든 업종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하는 건 아니며, 거래금액(부가세 포함)이 10만 원 이상이면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사업자인 경우, 소비자가 발급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발행방법
판매자가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설정 과정이 필요합니다.
1단계: 현금영수증 발급 가맹점 가입하기
현금영수증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현금영수증 발급 가맹점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아래의 가입방법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참고: PG(전자결제)를 이용할 예정이거나 이미 이용 중인 경우, PG사 가입 과정에서 현금영수증 발급 가맹점으로 자동 가입되므로 이 1단계는 건너 뛰어도 무방합니다.
가입 대상 및 기한
가입방법
아래 방법 중 하나로 현금영수증 발급 가맹점으로 가입합니다.
온라인 가입: 아래의 사이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유선 가입: 국세 상담센터(126)에 전화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국번없이 126 > 1번 (홈택스 상담) > 1번 (현금영수증) > 2번 (상담센터 연결) > 1번 (한국어) > 4번 (가맹점 현금영수증 발급서비스) > 사업자번호 (10자리) > 비밀번호 설정 > 대표자 주민번호 (13자리) > 비밀번호 (4자리) > 1번 (가맹점 가입)
(선택 사항) 2단계: 상품 거래유형(과세/면세) 설정하기
판매 중인 상품의 거래유형(과세/면세)을 설정합니다.
참고: 이 단계는 선택 사항으로, 쇼핑몰에서 과세 상품만 취급한다면 이 과정은 건너 뛰어도 됩니다.
설정방법
기본적으로 상품 등록 시 가격에 세금 포함(과세) 옵션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만약 판매하는 상품이 면세 상품인 경우, 아래의 도움말을 참고해 상품의 거래유형을 면세로 설정해 주세요.
3단계: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 설정하기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활성화 시켜 구매자가 결제 단계에서 현금영수증을 신청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판매자는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을 통해 구매자의 현금영수증 신청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은 관리자 페이지 접속 후 [환경설정 > 전자결제(PG) 설정]의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 항목에서 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더 상세한 설정방법은 아래 도움말 링크에서 확인해 주세요.
현금영수증 신청 기능 설정하기
4단계: 현금영수증 신청 정보 확인하기
구매자가 결제 단계에서 현금영수증을 신청한 경우, 주문 목록에 현금영수증 신청 정보가 표시됩니다.
참고: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대상 기능을 설정한 경우, 발급하기로 표시됩니다.
5단계: 현금영수증 발행하기
이제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려면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거나, PG(전자결제)사 가맹점은 별찌웹의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항목에서 해당되는 사항을 확인 후 현금영수증을 발급해 보세요.
1. PG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PG사 비가맹점 판매자는 국세청 홈택스 등의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통해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발급 후에는 사이트 주문관리 페이지로 돌아가 현금영수증 발급 완료 처리가 필요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
2.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면세 또는 과세 상품
PG사 가맹점의 경우, 위멘토(별찌)웹의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시스템을 활용해 편리하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시스템이란, 판매자가 국세청 홈택스 등의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구매자가 작성한 현금영수증 신청 정보를 바탕으로 별찌웹 내에서 간편하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아래의 도움말 링크를 참고해 별찌웹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시스템을 설정 후 사용해 보세요.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 설정하기
3. 현금영수증 자체 발행: 복합과세 상품
면세와 과세 상품을 함께 취급하는 복합과세 사업자도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단계별 설정방법은 아래 도움말 링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복합과세(면세/과세) 상품 결제 시 현금영수증 자동 발행 기능을 사용할 수 없나요?
현금영수증 자진발급하기
판매자는 현금영수증 발급의무에 따라 결제일로부터 5일 이내 반드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그러나 구매자가 현금영수증 신청을 잊었거나 인적사항을 알 수 없어 발급이 불가한 경우, 국세청 지정 코드(010-000-1234)를 활용해 현금영수증을 자진해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